사료 관련주 대장주 총정리
최근 가파르게 오른 돼지고기 가격으로 정육점과 고깃집 등 자영업자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돼지고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치솟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문제입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으로 인해 상승한 사료 가격이 돼지고기 도매가에 반영될 예정이라 최소한 여름철까지는 돼지고기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4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평균 삼겹살 소비자가는 2871원으로 지난달 가격 2504원에 비해 367원(14.7%)이 올랐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 2월과 비교하면 21% 상승했습니다.
거리두기 해제로 돼지고기 수요가 증가한 것이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대한한돈협회 관계자는 “지난 2개월 동안 돼지고기 가격이 오른 것은 수요 급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 출하할 때 중간 도매상들이 경매가를 조금 높여 부르는 성향이 짙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면서 자영업자들은 울상입니다. 가뜩이나 각종 식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마진이 줄었는데 돼지고기 가격까지 올랐기 때문입니다. 지난 23일 서울 성동구 마장동 축산시장에서 만난 업자들도 치솟는 삼겹살 값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지난 2개월 동안 돼지고기 도매가가 30%가량 치솟은 데다 인건비까지 올라 이익을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정육점 사장 박모(61)씨는 “지난 3월에만 해도 삼겹살의 도매가가 킬로그램(㎏)당 4400원 정도였는데 이달은 6700원까지 올랐다”며 “고기를 들여올 때 비용과 인건비가 동시에 상승해 남는 게 없지만 직원들 월급은 줘야하니 벌어둔 돈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육업자들은 돼지고기 특성상 삼겹살, 목살을 비롯한 인기 부위만 잘 판매된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습니다. 돼지고기를 주로 판매하는 정육업자 이모씨는 “삼겹살이나 목살 같은 구이용이 인기가 많아 더 많이 판매되고 도매 가격 상승폭도 더 크다”며 “뒷다리나 등심 같은 다른 부위는 도매 가격 상승이 크지 않은 대신 잘 팔리지가 않아 돼지 한 마리를 작업해 판매하더라도 손해가 더 커지는 구조”라고 말했습니다.
정육업자들에게 고기를 사들여 식육식당을 운영하는 업자들도 힘들기는 매한가지다. 마장동에서 삼겹살집을 운영하는 이모(69)씨는 3년 넘게 유지해오던 삼겹살 200g당 가격 1만3000원을 1만5000원으로 올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도매가가 비싸지더라도 단골 손님을 위해 가격 변동을 하지 않았는데 점점 커지는 손해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했습니다.
이씨는 “삼겹살 가격을 올리지 않고 버티고 있으니 오히려 단골들이 가격을 올리라고 설득했다”며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오른 가격으로 인해 손님이 줄어들까 걱정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돼지고기 가격 상승세가 여름철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현재 돼지고기 도매가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재재 값 인상분이 포함돼 있지 않은데, 향후 돼지고기 수요가 줄어도 원자재 값 인상 영향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한한돈협회 관계자는 “지금 사용하는 사료는 3개월 전에 사온 것이라 가격 인상분이 반영이 안 된 상태”라며 “당장 6~7월 쯤 가격이 인상된 사료가 들어오게 되면 가격을 낮출 수 없게 돼 돼지고기는 안 팔리고 사료 가격만 오르는 이중고가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더운 여름철에는 구워 먹는 삼겹 등 돼지고기 수요가 줄어드는데, 사료값 인상 등으로 가격은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농가에서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돼지를 도살할 계획입니다. 당분간은 축산업자들이 어려운 상황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사료를 제조하는 업체들도 원자재 값 상승으로 사료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한 사료업체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옥수수, 밀, 대두를 비롯한 원자재 곡물 값이 오른 데다 해상 운임비도 증가해 사료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관세물류협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글로벌 해운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4162.69포인트로 지난해 같은 기간 3432.5포인트에 비해 730.19포인트(21.3%) 증가했습니다. 주요 곡물 가격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BOT)의 세계곡물 가격동향에 따르면 밀, 옥수수, 대두의 1톤 당 가격은 각각 420달러, 313달러, 612달러로 우크라이나 사태 본격화 전인 지난 2월보다 적게는 5%에서 최고 42%까지 올랐습니다.
★ 현재 증권사 최대 관심주들 ★
한탑(00268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소맥분과 배합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부산에 본사 및 제분공장을, 양산에 사료공장을 두고 있음.
- 국내 제분업체는 한국제분협회 소속업체 기준으로 8개사가 경쟁하고 있으며, 동사는 기존거래선 유지, 관리 및 신규 거래선 확대 등을 통해 안정적 영업환경을 확보하고 있음.
- 종속기업으로 부동산투자 및 자동차 부분정비를 하는 (주)에쓰비와 보호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유)CHOICE PRO-TECH 등을 보유.
실적 및 분석
- 제분 부문 및 배합사료 부문의 판매 증가에도 사료 상품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종속기업 에쓰비의 수입자동차 판매 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매출 감소.
- 원가구조 개선에도 대손상각비 증가로 판관비 부담 확대되며 전년대비 영업손실 규모 확대, 법인세수익 증가에도 기타대손상각비 발생으로 순손실 규모도 확대.
- 내수경기 회복세로 소맥분 등의 판매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배합사료 시장의 경쟁심화, 닛산 자동차의 한국 철수에 따른 종속기업 에쓰비의 부진으로 매출 성장 제한적일 듯.
한일사료(00586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 1968년 11월 배합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4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낙농사료는 1998년 서울우유협동조합과 월 3,700톤 주문생산계약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거래관계를 지속해 오고 있으며, 양돈사료는 개별 양돈농가에 판매하고 있음.
- 종속기업으로 (주)케이미트, (주)케이미트광주, 산동한일사료유한공사, (주)아주푸드시스템, 한일에프에스(주) 등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축우사료 판매 증가에도 양계 및 양돈사료의 판매가 감소한 가운데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수입육 판매 부진으로 전년대비 매출 소폭 감소.
- 보관료, 대손상각비 감소로 판관비 부담 완화되었으나 원가율 상승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소폭 하락, 그러나 외화 관련 영업외수지 개선으로 순이익 흑자전환.
- 양계, 양돈 사육두수 정체로 배합사료 부문의 판매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내수 경기회복에 따른 수입육 판매 증가로 매출 성장 전망.
미래생명자원(21815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사료 판매업 및 제조업, 축산관련 컨설팅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와 중국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음.
- 2018년 7월 경기도 이천 제1공장 내 특수가공원료 라인 증설 및 제2공장 내 프리믹스 첨가제 전문공장 신설, 이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능력 확보 및 시장점유율 확대가 기대됨.
- 자체개발 원료 물질 GABA를 적용하여 스트레스 완화 기능을 갖춘 기능성 펫푸드를 출시하여 펫푸드 시장 본격 진출하였으며, 2020년 6월 옵티펫 온라인 쇼핑몰을 오픈함.
실적 및 분석
- 사료 부문의 프리믹스 첨가제, 반료동물 건강기능식품의 판매 증가에도 기능성 원료 및 첨가제의 판매 감소와 해외법인의 부진으로 전년대비 매출 규모 축소.
- 인건비 증가로 판관비 부담 확대되었으나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 수준의 영업이익률 유지, 기타대손상각비 증가에도 법인세비용 감소로 순이익률 역시 전년 수준을 유지.
- 반려동물 분양 증가에 따른 펫코노미 시장의 성장과 함께 옵티펫 매출 증가가 기대되며 영유아용 HMR회사 푸드트리 연결 편입 효과로 사업다각화하며 매출 성장 전망.
사조동아원(00804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8년 동아제분과의 합병을 통해 소맥분 제조 및 판매사업도 영위 중이며, 2017년 8월 한국제분을 흡수합병함.
- 충남 당진과 부산 및 인천에 제분공장을, 충남 당진과 강원도 원주에 사료공장을 각각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부문은 제분부문과 생물자원부문, 기타부문으로 구분됨.
- 종속기업으로 윤활유 및 석유류 운송알선업을 영위하는 하나에너지와 종돈, 오리사육업을 영위하는 농업회사법인천안팜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매출 감소에도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외화 관련 영업외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도 상승.
- 고급건면용 제분의 판매 증가, 양돈 등의 기타사업부문의 성장에도 소맥분 상품, 배합사료 부문의 부진으로 전년대비 매출 소폭 감소.
- 양돈의 사육두수 정체로 배합사료 부문의 성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펫 사료 부문의 확대, 수익성이 낮은 쌀도정, 양계사료 부문의 축소로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될 듯.
팜스토리(02771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팜스토리는 1991년 4월에 설립되어 1996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배합사료 제조 및 축산물 임가공 도축, 관련 도소매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14년말 편입된 자회사 마니커 에프앤지를 통해 육가공 생산 및 영업을 일원화하여 관련 효율성 증대 및 원가절감으로 수익구조 개선을 도모하고 있음.
-팜스토리는 최상위 지배회사는 이지바이오이며, 주요 종속기업으로 마니커 에프앤지, 팜스월드를 보유, 또한 곡물 재배업을 영위하는 러시아 해외법인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팜스토리는 가금 사업부의 역성장에도 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배합사료 판매 증가, 육가공 사업부의 양호한 성장, 해외 곡물생산법인의 성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금융수지 개선 등으로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 상승.
-팜스토리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로 배합사료 판매가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 곡물생산법인의 양호한 성장세 지속 등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고려산업(00214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고려산업은 1976년 신한제분의 배합사료 공장을 인수, 1977년에 부산공장, 1986년에 대구공장을 준공하여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음.
-미국, 브라질 등으로부터 주요 원재료인 옥수수, 대두박 등의 원재료를 수입하고 있어 국제 곡물 가격 및 환율 변동에 민감함.
-고려산업은 전국 배합사료 업체는 50여 개사로 90여 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농협의 사료시장점유율은 약 30% 정도를 보이고 있음.
실적 및 분석
-고려산업은 배합사료 시장 내 경쟁심화에도 안정적으로 사료사업을 영위하였으나, 임대수익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규모 소폭 축소.
-원가구조 개선 및 판관비용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생장물 평가손실 발생 등 영업외 수지 저하에도 순이익률 상승.
-고려산업은 가축 사육두수 증가로 배합사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영남권에서의 안정적 사업지위를 기반으로 매출 성장 가능할 전망.
선진(13649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선진은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업, 축산물 가공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9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2011년 1월 (주)선진지주로부터 인적 분할되어 재상장함.
-배합사료 부문은 물류센터 5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식육 부문은 돈육 브랜드 선진포크를 현대백화점, 롯데슈퍼, 홈플러스 등 대형매장에 납품하고 있음.
-선진은 종속기업으로는 농업회사법인(주)선진한마을, (주)선진 팜, (주)선진에프에스, (주)선진 햄, 미얀마 법인 등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선진은 배합사료 판매 호조, 식육 및 양돈 사업부의 양호한 성장, 육가공 제품 판매 증가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신장.
-매출 신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의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외화 관련 영업외 수지 개선, 법인세비용 감소로 순이익률 상승.
-선진은 계열화 농장 내 돼지 사육두수 증가와 함께 배합사료 판매가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바,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이지바이오(35381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이지바이오는 2020년 5월 존속회사인 (주)이지홀딩스와 신설회사 (주)이지바이오로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동년 6월 재상장하여 사업영위 중임.
-자돈 사료, 사료첨가제 사업부문을 인적분할, 주요 사업으로 영위 중인바, 매출 비중은 2020년 반기 기준 자돈사료 52.77%, 사료첨가제 47.23%를 차지하고 있음.
-이지바이오는 1988년부터 사료 첨가제 연구 및 생산기반을 구축하여 발효공학, 효소공학 등의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미국, 콜롬비아, 중국 등 3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이지바이오는 COVID-19 확산에 따른 가정식 육류 소비 확대 및 육류가격 역시 상승하는 등 자돈사료 및 사료첨가제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2020년 상반기 21,550백만 원을 시현.
-자돈사료 및 첨가제 시장의 안정적 수요에 따른 매출시현 및 적정 수준의 원가, 고정비 등으로 영업이익률은 18.16%를 시현하였고, 순이익률 13.13%로 양호한 편임.
-이지바이오는 COVID-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중동 및 아프리카, 중국 등에서 높은 성장성을 보이고 있으며, 자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외형확대 및 고수익 구조가 예상됨.
이지홀딩스(03581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이지홀딩스는 1988년 3월에 설립되어 축산물 수직계열화를 이룬 지주회사로서 배합사료 및 첨가제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음.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 가격 및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으나 사료사업부는 주로 고부가 사료 생산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마진을 확보함.
-이지홀딩스는 주요 종속기업으로 (주)마니커에프앤지, (주)마니커, (주)팜스토리, (주)정다운, (주)이지팜스 등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이지홀딩스는 가금 사업 부문의 부진에도 가축 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배합사료 판매 증가와 축산 및 육가공 부문의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소폭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에도 원가구조 저하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하락, 분배 자산집단 처분이익 발생으로 순이익률 상승.
-이지홀딩스는 공급과잉 지속으로 가금 사업 부문의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계열화 부문의 배합사료 판매 증가, 가공식품 판매 증가 등으로 매출 성장 가능할 전망.
팜스코(03658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팜스코는 1999년 10월에 설립되어 배합사료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신선식품 판매 및 도축업, 육가공, 양돈업, 태양광, 퇴비화 사업도 수행하고 있음.
-안성, 정읍 등 4개의 사료공장을 가동하여 전 축종 사료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배합사료에서 양돈, 신선육, 육가공에 이르는 수직계열화 구축으로 경쟁력을 확보함.
-팜스코는 주요 종속기업으로 양돈업을 영위하는 (주)팜스코 바이오인 티와 사료 제조업을 영위하는 PT FARMSCO FEED INDONESIA를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팜스코는 종속기업 팜스코 푸드의 돈가스 판매 부진 등에도 양돈사료가 판매가 양호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신선육 판매도 호조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신장.
-매출 신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 흑자 전환.
-팜스코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로 사료 판매가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안정적 거래처를 기반으로 선선육 판매도 증가하며 매출 성장 가능할 전망.
한농화성(011500) :: 사료 관련주
기업개요
-한농화성은 계면활성제와 글리콜에테르 등 화학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76년 7월 설립되었으며 2003년 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주요 매출 품목은 글리콜에테르와 계면활성제, 특수산업용 유화제 등의 정밀화학제품이며, FM(기능성 모노머), 글라임 등 첨단화학제품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음.
-한농화성은 주요 거래처로 LG화학, 켐트로닉스, 롯데케미컬 등이 있으며, 400개 이상의 거래처를 확보, 다양한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한농화성은 COVID-19 확산에 따른 개인위생개념 강화로 계면활성제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글리콜에테르, 특수산업용 유화제의 판매 부진으로 전년 동기 수준 매출 규모 유지.
-판관비 증가에도 매출원가율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률 상승하였으며, 관계기업 지분법 이익 증가 및 기타 영업외 수지 증가로 순이익률 상승.
-한농화성은 계면활성제의 꾸준한 수요 및 각국의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반도체 등 세정제로 사용되는 GE 등의 판매 회복으로 매출 증가 기대되며, 수익성 역시 원가개선으로 상승 유지.
★ 현재 증권사 최대 관심주들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두 관련주 총정리 (0) | 2022.05.24 |
---|---|
곡물 관련주 대장주 7종목 (0) | 2022.05.24 |
스펙주 TOP 10 종목 정리 (0) | 2022.05.22 |
인테리어 관련주 7종목 (0) | 2022.05.22 |
Node.js에서 Web3 트랜잭션 보내기 — Nonce Hell. (0) | 2022.05.16 |
댓글